더불어민주당 송옥주(왼쪽) 의원이 12일 오후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옥상 미세먼지측정소에서 측정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더불어민주당 송옥주(왼쪽) 의원이 12일 오후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옥상 미세먼지측정소에서 측정 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정부의 미세먼지 측정치가 시민들이 체감하는 오염정도와 차이가 크다는 사실이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미세먼지 도시대기측정소의 측정구가 지나치게 높아 실제 지상의 미세먼지 농도와 차이가 발생했던 것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환경부는 측정소 10곳을 대상으로 지상의 미세먼지 농도와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조사는 측정구 높이가 10m를 넘는 서울 5곳, 경기 1곳, 부산·울산·대구·경남 1곳씩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부터 12월말까지 진행했다.

분석 결과, 10곳 중 7곳에서 대기측정소보다 지상의 미세먼지 농도(PM10)가 더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측정구 높이가 24.6m로 가장 높은 서울 서대문구 측정소에서 차이가 제일 컸는데, 측정소에서는 미세먼지 지수가 32㎍/㎥인 반면 지상에서는 41㎍/㎥로 측정돼 28%의 차이를 보였다.

대구 수성구 측정소는 18m 높이의 측정구에서 40㎍/㎥이 나왔지만 지상에서는 48㎍/㎥로 분석돼 20%의 차이를 보였고, 측정구 높이가 20m인 부산 기장군 측정소(25㎍/㎥)은 지상(29㎍/㎥)에 비해 16% 차이를 보였다.

측정 차이가 있어 미세먼지 예보기준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었다.

경기 군포시 측정소의 경우 지난해 12월24일 측정소는 75㎍/㎥로 예보기준으로 ‘보통’이었지만 지상에서의 농도는 84㎍/㎥로 ‘나쁨’ 구간에 있었다.

서울시 강동구(11월28일)와 용산구(12월15일) 측정소의 농도는 각각 75㎍/㎥로 예보기준으로 ‘보통’이었으나 지상에서의 농도는 각각 85㎍/㎥와 87㎍/㎥로 ‘나쁨’ 구간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올라갈수록 확산이 잘되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는 떨어진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정부가 도시대기측정소와 지상(이동측정차량)의 농도를 비교분석한 실태조사를 통해 그 차이가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세먼지 관련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으면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이 잘돼 농도가 떨어진다”면서 “도시대기측정소는 그 위치와 높이를 최대한 체감오염도를 반영하도록 규정의 원칙대로 설치,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 홍동곤 대기정책과장은 “지난해 국감에서 미세먼지 측정구가 높다는 지적이 있어 실태조사를 진행하게 됐다”면서 “관련 지침을 개정한 만큼 20m를 초과하는 측정소는 단계적으로 이전해 체감오염도와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