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여성 감독

‘박남옥, 홍은원부터 이경미, 윤가은까지’

50년대 한국 최초의 여성 감독 등장 이후 명맥 이어

2000년대 여성 감독 대거 등장으로 부흥기 맞아

여성 감독이 설 자리가 없다. 과거보다 후퇴한 현재 영화계는 철저히 남성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 혹자는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 게다. “괜찮은 여성 감독이 없으니 남성 감독을 쓰는 것 아니겠냐”고. 하지만 한국에도 여성 감독의 계보가 있다. 50년대부터 이어져 온 명맥이 분명 존재한다. 척박한 환경을 뚫고 나와 당당히 능력을 내보인 이들이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는 여성 감독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부흥기를 맞기도 했다. ‘쓸 만한’ 여성 감독들은 있다. 아니, 많다. 

 

한국 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 ⓒ(사)여성영화인모임 제공
한국 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 ⓒ(사)여성영화인모임 제공

 

박남옥 감독의 데뷔작이자 마지막 작품인 영화 ‘미망인’ 포스터 ⓒ한국영상자료원 제공
박남옥 감독의 데뷔작이자 마지막 작품인 영화 ‘미망인’ 포스터 ⓒ한국영상자료원 제공

한국 최초의 여성감독 박남옥(1923~2017)

박남옥은 어려서부터 영화에 심취하며 문학, 미술, 체육 등 다방면에서 재능을 보였다. 데뷔작이자 마지막 작품인 ‘미망인’은 당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던 전쟁 과부 문제를 다뤘다.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 선 여성들의 갈등과 성적 욕망을 예리하게 포착했다. 1955년 개봉한 ‘미망인’은 극장 섭외에 난관을 겪으며 나흘밖에 상영되지 못했지만, 1997년 제1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상영되며 재발견됐다. 1940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정과에 입학한 후 중퇴해 대구에서 신문기자로 일하던 그는 윤용규 감독의 소개로 조선영화사 촬영소에서 일하며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해방 이후 신경균 감독의 ‘새로운 맹서’(1947) 스크립터로 일하다 ‘미망인’ 작업에 돌입했다. 예산이 부족했던 그는 언니에게 돈을 빌려 제작비를 마련하고, 돌도 지나지 않은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등에 업고 촬영 현장을 지휘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