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쇼핑축제.’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31일까지 34일간 진행되는 ‘코리아세일페스타’를 설명하는 정부의 말이다. 2015년 박근혜 정부가 주도한 코리아세일페스타는 메르스로 인해 침체된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해 시작됐다. 내수 진작을 위한 정부주도형 쇼핑 행사인 셈이다. 그러나 올해 3회째를 맞는 코리아세일페스타의 존재감은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라는 말이 민망하게 느껴질 만큼 미미하기만 하다. 또한 기대만큼 큰 할인율을 보여주지 못해 매년 ‘있으나 마나 한 행사’ ‘계륵’이라는 꼬리표가 붙고 있다.

특히 가계 소비의 주체이자 각종 할인행사에 발 빠른 여성 소비자들이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사실이 문제의 심각함을 잘 드러낸다. 행사가 시작한 지 2주나 지났지만, 대부분의 여성 소비자들은 “코리아세일페스타가 있는 줄도 몰랐다”는 반응이다. 코리아세일페스타를 들어봤다는 한 소비자는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처럼 세일도 크게 못 하고, 평소 할인율과도 비슷하다. 심지어 VIP 등급에도 크게 주는 혜택이 없는데 아무 맥락도 없이 정부 주도로 베낀 쇼핑 행사가 성공하면 그게 더 이상하다”고 비판했다.

가장 큰 문제는 소비자를 유혹할 만한 ‘킬러 콘텐츠’가 없다는 점이다. 정부는 “최대 80%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사실상 온라인쇼핑몰과 대형마트, 백화점 등에서 진행하는 코리아세일페스타의 할인율은 10~30%로 정기 가을세일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여성 소비자들은 쿠팡, 티몬, 위메프 등 소셜커머스들의 ‘저가 경쟁’에 익숙해져 있다. 이들의 눈길을 끌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콘텐츠가 필요하다. 실제로 평소 사지 못했던 고가의 물품을 이 기간에만 파격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뒷받침돼야 한다.

무엇보다 국가 차원의 큰 행사가 자리를 잡으려면 최소 몇 년간은 끊임없는 관심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그런데도 정부는 단순히 “지난해 40억에서 올해 51억으로 예산을 늘렸다”거나 “참가기업과 관련 참여단체가 더욱 증가했다”는 입장을 밝히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같은 지적을 해마다 듣고 있는 정부의 ‘코리아세일페스타’를 비판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정부는 제조·유통업체 참여 등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보여주기식’이 아닌 제대로 된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 내년에도 같은 지적을 듣는다면 그때는 ‘계륵’을 넘어서 예산만 축내는 당장 중단해야 할 행사로 인식될 것이다. 국내 최대의 쇼핑축제라는 말에 걸맞게 소비자들이 손꼽아 기다릴 수 있는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가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