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밥족 55% “대충 때우거나

인스턴트식품 주로 먹어요”

혼술문화, 1인가구 건강 해쳐

 

비만과 위장질환 발병 위험도

“20분 이상 느긋하게 드세요”

‘과유불급’ 혼술 시 음주 적당히

 

대한민국은 지금 ‘혼밥(혼자 하는 식사)·혼술(혼자 하는 술)’ 열풍이다. 국내 1인가구의 91.8%가 주로 혼자 밥을 먹고 있고, 1998년 20대 1인가구 소비품목 13위에 불과했던 ‘술’이 2014년 2위로 뛰어올랐다. 혼자라서 편하지만 홀로 대충 밥을 때우고, 술을 자주 즐기면 건강을 해치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인가구 10명 중 9명 ‘혼밥’

혼밥은 건강하게 즐기지 않으면 비만과 위장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혼자서 밥을 먹는 사람의 약 55%가 식사를 대충 하거나 인스턴트식품을 주로 먹는다고 답했고, 자주 즐기는 식사 메뉴로 라면, 백반, 빵, 김밥, 샌드위치를 꼽았다. 최근 간편식품 시장 규모가 1조원을 넘어서며 4년새 51% 증가한 것도 이를 반영한다. 간편식은 탄수화물과 지방식 위주로 열량이 높아 비만을 유발하기 쉽고, 설탕과 인공조미료가 다량으로 함유된 경우가 많다.

또 밥을 함께 먹는 상대가 없다 보니 자신도 모르게 식사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크다. 식사를 빨리 할수록 비만과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진다. 혼자 TV나 휴대폰으로 영상을 보며 먹기도 하는데 화면에 집중하다보면 제대로 씹지 않고 삼키거나 먹은 양을 쉽게 짐작하지 못해 과식, 소화불량 같은 위장질환도 생길 수 있다.

정혜경 이대목동병원 위대장센터 교수는 “혼밥이 사회 트렌드로 자리 잡은 만큼 무조건 경계하기보다 건강한 식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첫술을 뜨고 20분가량 지나야 식욕 억제 호르몬이 분비된다. 20분 이상 느긋하게 먹고, TV나 휴대폰을 멀리하며 식사에만 집중하는 게 좋다”고 권했다. 그래야 음식물을 제대로 씹고 과식하지 않게 돼 위장에 무리가 덜 된다는 것이다.

또 식습관만큼 무엇을 먹는 지가 중요하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필수 영양소를 골고루 갖춘 조리 식품을 선택하고 비타민, 무기질 등은 채소나 제철 과일을 자주 먹고 보충하는 게 좋다.

혼술, 알코올성 간질환 위험

혼술문화도 1인가구 건강의 또 다른 위협이 될 수 있다. 술은 신체의 여러 기관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간 건강을 위해를 끼친다. 지금이야 1~3차로 이어지는 단체 음주문화 같은 강제성은 없지만 혼자 술을 마시면 술에 빠져들고 이를 자제시킬 상대가 없어 과음할 가능성이 높다. 또 혼술이 습관처럼 굳어지면 음주 빈도가 늘 수 있다. 음주 간격이 짧고 양이 많아질수록 심각한 만성간질환으로 진행될 위험이 커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20~40대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66.1%가 최근 6개월 내에 혼술 경험이 있고 이들 중 6개월 전에 비해 음주 빈도가 늘었다는 응답자도 4명 중 1명꼴로 많았다. 또 혼자 한 번 술을 마시면 남녀 평균 맥주(200mL) 4잔, 소주(50mL) 5.7잔, 과실주(100mL) 2.6잔, 탁주(200mL) 2.7잔, 위스키(30mL) 3.1잔을 마셔 여럿이 마실 때보다 음주량이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40.1%)이 남성(36.1%)보다 고위험음주량 비율이 높았다.

과음은 간 건강을 해치는 주범이다. 여성이나 영양 상태가 좋지 못한 사람, 바이러스 간염 환자는 소량의 알코올 섭취만으로도 심한 간 손상을 입을 수 있어 음주 조절이 필요하고, 이미 간경화로 진단 받은 환자는 반드시 금주해야 한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으나 여성은 하루 10g 이하(소주 1잔 이내), 남성은 하루 알코올 20g 이하(소주 2잔 이내) 음주량이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코올 의존성에 의해 음주량이 늘어날 우려가 있어 매일 혼자 마시는 습관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 알코올 간질환은 많이 진행하기 전에는 증상이 없다. 과음을 계속해온 경우 검진을 통해 간질환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전문가를 찾아 상담해야 한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