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정규직 비중, 보직·승진 규모 늘었지만

전체 재직자 가운데 여성은 19.4%

신규 채용 정규직도 20.7%만 여성

여성 관리자 비중도 10% 밑돌아

 

여성과학기술인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기업보다 공공기관에서 비정규직화 현상이 더욱 심각했다. 이공계 여성 인력의 비정규직화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는 3507개 대학과 기관, 민간연구소를 대상으로 한 ‘2015년도 여성과학기술인력 활용 실태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그 결과, 전체 재직자 22만3756명 가운데 여성 인력은 4만3402명으로 19.4%로 나타났다. 여성 정규직(2만4546명)은 전년에 비해 0.7%포인트(643명) 소폭 늘었으나, 여전히 전체 정규직의 14.6%에 그쳤다. 여성 비정규직(1만8856명)은 전체 비정규직의 33.8%에 달했다.

 

여성 과학기술인의 고용 안정성은 남성에 비해 떨어졌다. 전체 여성 과학기술인 중 비정규직은 43.4%로 남성(20.3%) 비중의 2배를 넘었다. 여성 인력의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비정규직이 43.4%로 남성 비정규직(20.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기관유형별로 보면, 민간기업 연구기관은 성별에 관계없이 대부분 정규직이었으나, 이공계 대학은 전체 여성 인력 중 78.1%가 비정규직이었다. 공공연구기관도 여성 정규직은 49.2%인 반면, 남성 정규직은 78.0%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고용형태 차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과학기술인 신규 채용과 정규직 여성 신규 채용 규모는 전년에 비해 각각 1.5%포인트, 0.9%포인트 늘었다. 그러나 신규 채용 인력 10명 중 여성은 2명 정도에 불과했다. 2015년 전체 신규 채용 인력(2만3142명) 중 여성(5591명)은 24.2%였다. 이 가운데 정규직만 따지면 여성은 20.7%(3406명)로 떨어진다. 나머지 79.3%는 모두 남성이라는 얘기다.

여성 보직자와 연구과제책임자 비중도 소폭 늘었으나 여전히 10%를 밑돌았다. 여성 보직자는 8.5%(2869명), 여성 연구과제책임자는 8.6%(8372명) 였다.

 

일·가정 양립을 위한 법적 의무제도와 자율적 제도 운영률은 소폭이지만 증가하는 추세다.

출산전후휴가, 임신한 여성에 대한 보호, 육아휴직, 수유시간 보장,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 등 법적 의무제도 운영률은 2014년 93.7%에서 2015년 94.3%로 늘었다. 불임휴직제, 수유실, 탄력·재택 근무, 휴게실 설치 등 자율적 제도 운영률은 2014년 50.6%에서 2015년 51.0%로 늘었다. 민간연구소는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자율적 제도 운영률이 감소했다. 재직자 1000인 이상 사업장의 운영률은 60.6%였으나, 100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장은 48.3%로 떨어졌다.

직장보육시설 설치의무 기관의 보육시설 설치 비율은 61.4%로, 전년 대비 1.3%포인트 늘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