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피니언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생활 전국 세계 스포츠 포토 동정 특별기획·연재 여신 서포터즈 구독신청 일시후원 정기후원 여성신문소개 허스토리 주요사업 연혁 만드는사람들 오시는길 회원가입 나의 정보관리 콘텐츠 다운로드 고객센터 공지사항 기사제보 투고 오류신고 기사문의 콘텐츠구매 독자이벤트
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W교육칼럼] 대학입학전형은 대학의 서바이벌 게임이다 [W교육칼럼] 대학입학전형은 대학의 서바이벌 게임이다 대학입학전형에서 2월은 모든 전형이 마무리되는 ‘최종 등록’ 시기이다. 농사에 비유한다면, 수확하는 시기이다. 수시전형에서 합격한 학생은 최종 등록의사를 ‘예치금 입금’이나 ‘문서등록’이라는 방법으로 최종 등록 의사를 밝힌 후, 정시전형 합격자와 함께 본등록이 진행되는 시기이다. 지난 2월25일 기사에 따르면, 4년제 대학 198곳 중 91%에 달하는 180곳이 모집인원을 다 충원하지 못했고, 이에 따라 추가모집이 작년 대비 23곳이나 늘었다고 한다. 특히, 대학이 선발하지 못한 신입생 정원의 89.3%는 지역 소재 대학에서 발생했 연재 | 김경숙 건국대 책임입학사정관 | 2023-03-08 09:30 [W교육칼럼] 코로나를 보내며, 새봄을 맞으며 [W교육칼럼] 코로나를 보내며, 새봄을 맞으며 2023년 새해가 시작된 지 벌써 두 달이 되어간다. 1월이 되면 사람들은 새해의 계획과 다짐으로 저마다 분주하다. 그러나 학교의 시계는 조금 다르다. 학교는 새 학년이 시작되는 3월이 진짜 ‘시작’이고, 빛나는 졸업장을 받고 떠나가는 2월이 진짜 ‘끝맺음’이다.새해를 맞이하는 학교의 마음은 조금 다르다. 지난 3년간을 돌아보자. 전 세계를 강타했던 코로나19의 대유행 속에 모든 것이 멈춰 섰고, 그 속에서 학교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코로나 유행 초기였던 2020년 3월, 개학 연기라는 초유의 사태도 경험했다. 이를 통해 학교의 연재 | 정현진 고등학교 사회교사 | 2023-02-17 17:01 [W교육칼럼] 내신 전면 절대평가와 대학입시 미세 조정의 모순 [W교육칼럼] 내신 전면 절대평가와 대학입시 미세 조정의 모순 학생의 교과 선택권을 확대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지난 연말에 발표되었고, 교육부 장관은 절대평가를 고등학교 전체 학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올 상반기에 결정하겠다고 했다. 이는 지난 정부가 현행 대입제도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전제로 만든 방안-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목은 상대평가 9등급, 2·3학년은 절대평가인 5등급 성취평가제-을 수정하겠다는 뜻이다. 학년에 따라 다른 평가 체제를 적용하는 방안을 두고 교육부는 입시 안정성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변명하겠지만 국가 정책이라고 하기에는 옹색하고 졸렬하다. 현재 수능과 내 연재 | 김경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교수 | 2023-02-07 12:00 [W교육칼럼] 수능의 ‘신화’는 깨지고 있다 [W교육칼럼] 수능의 ‘신화’는 깨지고 있다 대학입학전형에서 1월은 정시전형 운영 시기이다. 수시전형에서 미충원된 인원을 정시전형으로 이월한 후, 정시 모집인원이 확정되면 정시전형은 시작된다. 그 일정이 12월 말에서 1월 초이다. 대학은 2월 초 합격자 발표까지 분주한 일정을 진행하고, 2월 중순 정시전형 충원 이후 미충원 인원에 대해 2월 말 추가모집을 하기도 한다.지금의 대학입학전형 체계는 3가지 축으로 작동한다. 국민의 정부에서의 ‘3불 정책’, 박근혜 정부에서의 ‘2013년 대입제도 간소화 방안’ 그리고 문재인 정부에서의 ‘2019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이다. 연재 | 김경숙 건국대 책임입학사정관 | 2023-01-28 08:55 [W교육칼럼] 교육의 다양성이란? [W교육칼럼] 교육의 다양성이란? 대통령도 장관도 교육의 ‘다양성’을 말하고 있다. 교육에서 다양성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영재학교, 과학고, 전국단위자사고, 광역단위자사고, 외고, 국제고, 일반고, 마이스터고를 포함한 직업계고 등등. 공고하게 서열화된 다양성을 의미하는가?그렇지 않다. 교육에서 다양성이란 교육 공동체의 구성원을 다양하게 보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래야만 동료효과(peer-effect)가 극대화하는 법이다. 말하자면 함께 공부하는 공동체에는 가난한 학생도, 부유한 학생도, 수학을 잘하는 학생도, 국어를 잘하는 학생도, 체육을 잘하는 학생도, 음악을 연재 | 전경원 경기도 교육정책자문관·하나고 교사 | 2023-01-20 08:45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