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피니언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생활 전국 세계 스포츠 포토 동정 특별기획·연재 여신 서포터즈 구독신청 일시후원 정기후원 여성신문소개 허스토리 주요사업 연혁 만드는사람들 오시는길 회원가입 나의 정보관리 콘텐츠 다운로드 고객센터 공지사항 기사제보 투고 오류신고 기사문의 콘텐츠구매 독자이벤트
기사 (3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쉬운우리말쓰기] ⑨ “보도용어, 코로나19 같은 긴급 상황에서 더 쉬워야” [쉬운우리말쓰기] ⑨ “보도용어, 코로나19 같은 긴급 상황에서 더 쉬워야” 공공기관과 언론·미디어에서 사용하는 어려운 공공언어로 국민이 겪는 불편이 크다. 여성신문사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공공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펼쳐나간다.어려운 미디어·뉴스 보도 용어와 그 순화어에 대한 대중의 생각을 들어보고자 자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들은 실제 언론·방송사에서 미디어·보도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10개의 제시어 중 4개를 ‘어렵다’라고 꼽고, 3개를 ‘애매하다’라고 선택했다. 반면 국립국어원(국어원)이 이를 순화한 10가지 용어에는 과반수가 ‘충분히 이해함’을 선택했다. 또한 사회 | 진혜민 기자 | 2020-09-25 17:01 [쉬운우리말쓰기] ⑧ ‘코로나 블루’말고 ‘코로나 우울’ [쉬운우리말쓰기] ⑧ ‘코로나 블루’말고 ‘코로나 우울’ 국립국어원은 코로나19 장기화에 생겨난 ‘코로나 블루’라는 단어 대신 ‘코로나 우울’을 사용할 것을 권유했다.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열린 ‘새말모임’에서 ‘코로나 블루’라는 단어의 의미와 적절성, 활용성 등을 검토해 대체어를 최종 선정했다고 10일 발표했다.코로나 블루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일상에 큰 변화가 닥치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 우울, 무기력감을 뜻한다.문체부가 지난 3~4일 국민 6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 사회 | 진혜민 기자 | 2020-08-10 17:13 [쉬운 우리말 쓰기] ① 공공언어, 얼마나 이해하고 있나요? [쉬운 우리말 쓰기] ① 공공언어, 얼마나 이해하고 있나요? 국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정보를 담는 공공기관의 보도자료·행정 및 법률·정책의 이해를 돕는 공공언어에 어려운 외래어·한자어와 성차별적인 언어가 사용돼 문제적이다.공공언어는 공문서나 민원서류, 보도자료처럼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기관에서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뜻한다.2017년 3월 개정된 ‘국어기본법’ 제14조 1항에는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를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하며,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공공기관의 보도자료는 국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정보를 사회 | 진혜민 기자 | 2020-05-28 18:01 처음처음1끝끝